[PC게임 리뷰] 돈 스타브(Don’t Starve)


‘돈 스타브(Don’t Starve)’ – 첫화면


1. ‘돈 스타브(Don’t Starve)’ 개요


‘돈 스타브(Don’t Starve)’ 한국어로 ‘굶지마!’로 농당스럽게 이야기 되는 게임이다. 오픈월드 생존 게임이다. 오픈월드 생존 RPG류의 게임으로 여럿이 있으나 나름 재미있게 플레이 했던 게임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장르는 생존, 제작이라고 하겠다.

‘돈 스타브(Don’t Starve)’와 비슷한 제작 컨텐츠가 있는 게임은 리뷰한 게임으로 ‘[PC게임 리뷰] 마디블 다이너스티(Medieval Dynasty)‘, ‘[PC게임 리뷰] 더 포레스트(The Forest)‘, ‘[PC게임 리뷰] 아스트로니어(ASTRONEER)‘, ‘[PC게임 리뷰] 어보브 스네이크(Above Snakes)‘가 생각난다.

리뷰는 작성하지 않았지만 ‘스타바운드(Starbound)’도 생각이 난다. 더 나아가서는 ‘마인크레프트(Minecrafte)’도 생존, 제작 영역 측면에서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찾아보면 있겠으나 지금 생각나는 것은 이 정도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는 출시된지도 상당하고 한참 과거에 플레이한 게임이다. 필자는 ‘돈 스타브(Don’t Starve)’가 아닌 ‘돈 스타브 투게더(Don’t Starve togeter)’로 같이 게임을 하자고 구매한거 같은데 결국에는 멀티 플레이라는 것이 게임할 시간이 맞지 않아서 지인들 하고는 플레이가 힘든 것 같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모드로 게임 편의성을 높이지 않으면 정말 불편한 게임이다.

대부분이 각자의 시기에 각자가 원하는 게임을 하기 때문이다.

아무튼 ‘돈 스타브(Don’t Starve)’의 경우에는 아마도 처음에는 모드로 한글화를 제공하다가 최근에 스팀에서는 아마 자동적으로 모드를 통해서 한글를 제공하지 않으까 생각하고 있다. 없더라도 모드를 통해서 한글을 제공 받을 수 있다. 한글화 부분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한다. 출시 된지도 상당한 게임이기에 말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모드로 완성되는 게임이다.

이제 돈스타브 리뷰 본문으로 들어가자.

2. ‘돈 스타브(Don’t Starve)’ 본문


2.1. 특징


‘돈 스타브(Don’t Starve)’는 개인적으로 생존, 제작, RPG라고 생각한다. 필자로서는 앞에 언급한 3가지 측면에서 돈스타브를 즐기게 되었다.

스토리라고 할 점이 있기는 한 것으로 보이나 역시나 플레이하다 보면 생존하기 급급해서 스토리는 뒷전이 된다. 간단히 배경이라고 할 설명이 있다고 생각한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스토리가 무엇이 중요하리

간단하게 무언가의 음모에 의해서 이세계로 이동하게 되며 그 장소에서 살아남으면서 탈출을 하는 것이 목적인 게임이다.

처음에는 당황하게 되는데 과거 플레이에서는 따로 튜토리얼은 없었다. 무엇을 해야 할지 몰라서 당황스러울 것이다. 그럼에도 이런 분류의 게임을 경험했던 사람이라면 나뭇가지와 돌을 가지고 도끼를 만들고 나무를 패면서 생각을 할 것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배고픔과 정신력과 생명력이 플레이를 재촉한다.

또한 베리를 최대한 모을 것이다. 식량을 위해서는 말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에서는 계절이 있어서 생존 환경을 갖춰서 극한의 계절을 살아남는게 중요하다. 게임 타이틀에서는 먹는 것을 강조했지만 실상 게임에서는 먹는 것은 그나마 초기에 해결이 가능하지만 장기 생존을 위해서 계절과 전투에 대비해야 하는데 그 난이도가 다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아무리 잘 갖춰져 있다고 해도 늘 배고픔에 허덕이는 캐릭터

자잘하게 동물들이 있으며 특정 지역에 따라서 괴물들도 존재한다. 또한 특정 조건에 의해서 보스 몹이 출연하기도 한다. 초반에 그러한 몬스터를 반견하게 된다면 갑작이 사망하게 되어서 다시 처음부터 플레이할 수도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보스의 패턴이 단조롭긴 하지만 처음으로 보게 되면 놀랄 것이다.

은연중에 느꼈다 싶이 보스몹을 플레이어는 결국에는 잡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 보스몹이 특수한 아니템을 줄 것이기 때문이다. 위기가 있어야 게임이 즐거운 법이다.(?)생존도 생존이지만 말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보스만이 주는 아이템이 있기 때문에 상대할 필요가 있다. 다만 전투에 대비를 잘해 두어야 할 것이다.

2.2. 그래픽 및 사운드


그래픽은 수채화 풍의 그림을 조정하는 느낌을 받는 게임이다. 전체적으로 퀄리티가 괜찮다고 생각한다. 나름 묘사가 잘 되어있다. 그리고 이런 2차원과 3차원의 중간에 위치한 게임의 시야가 정말로 악영향을 미치는데 다행이도 ‘돈 스타브(Don’t Starve)’의 경우에는 화면 회전이 가능해서 간혹 시야가 가리는 경우라 하더라도 회전을 통해서 가려진 시야를 극복할 기능을 제공한다. 이점은 칭찬받아야 맞당하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정착지 주변에 아이템 수급을 원할하게 하기 위해서 숲도 조성하고 할 일이 많다.

사운드의 경우에는 특유의 어두는 공포 분위기가 있으며 그점을 잘 살렸다. 그리고 기묘하고 미스테리한 느낌을 그래픽과 함께 잘 살려냈다고 생각한다. 또한 각종 상호작용을 행할 때 나오는 소리도 빠짐 없이 괜찮았다고 생각한다.

모자란 부부도 없고 크게 거슬리는 부분도 없다. 보스전 전투와 몬스터의 이동 소리를 묘사하는 것도 나름의 공포감을 느끼게 잘 조성되었다. 낮과 밤이 있고 이에 따른 소리에 변화 밤이 찾아와서는 부엉이 소리와 귀뚜라미 소리 등 배경음도 나름 괜찮았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촉수 괴물들의 죽으면 드랍하는 무기는 데미지가 강력해서 전투에 활용도가 높다.

아침이 밝았을 때 시작되는 배경음을 넣어서 분위기 전환을 일으키는 것도 괜찮은 부분이라 생각했다.

2.3. 난이도


난이도는 설명이 부족하고 목적 의식이 솔직히 애매하기에 그 점이 어려움을 좀 늘리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추위를 극복하는 방법에 관해서든 스스로 알아내는 재미를 주는 목적이 있는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친절함이 부족한 점 때문에 생존이라는 장르가 붙는 것이기도 하지만 원할한 플레이를 위해서는 인터넷에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이 정도 구성을 만들려면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더운 날씨와 추운 날씨를 극복하는 법을 직접적으로 알 수 없었기에 정말 힘들게 겨울과 여름을 보냈던 것으로 생각난다. 또한 비오는 날씨에 옷이 젖어서 디버프를 받기도 했었다. 또한 정신력이 떨어지게 되면 꽃을 따는 행위를 통해서 정신력을 회복해주어야 하는 등, 숨겨진 요소들로 인해서서 플레이에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음식 레시피나 각종 공략법에 관해서는 인터넷을 통해서 검색하지 않으면 솔직히 혼자서 빨리 알아내기가 힘들다고 생각한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얼마나 많은 노력이 들어갔는지 플레이 해본 사람은 알 것이다.

그런점에도 ‘돈 스타브(Don’t Starve)’는 난이도가 중 이상이라 판단된다. 플레이가 문제를 맡닥드리고 개선할 방법을 스스로 찾아야 한다는 점에서 난이도가 있다. 실험을 하고 패배도 맛보는 식이라 목숨이 하나라는 점과 실수하면 귀찮아 진다는 점이 절실하게 체감되는 게임이다.

2.4. 플레이시간


요번 게임의 경우에는 총 플레이시간을 측정할 수 없었다. 과거의 플레이한 시간이 상당하기 떄문이다. 그럼에도 혼사서 플레이 하는 경우가 아니라 인터넷에서 공략을 보면서 플레이를 한다면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모드를 활용하지 않는다면 플레이 시간은 엄청나게 늘어나고 불편한 점도 많을 것이다.

그럼에도 추천하는 플레이 방식은 역시나 직접 경험하고 생각해보며 해답을 얻는 것이 재미로서는 더 괜찮을 것이다. 물론, 여러 번 패배의 횟수가 쌓이게 된다면 공략을 참고 하는 것을 추천한다.

공략을 보면서 플레이하게 된다면 나름의 엔딩이라고 하는 부분은 쉽게 달성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공략을 본다면 ‘돈 스타브(Don’t Starve)’는 그렇게 어려운 게임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물론, 어드벤처 맵들은 어렵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게임이 지루하고 쉽게 느껴지게 된다면 어드벤쳐 맵으로 이동해서 플레이 해보는 것도 좋다.

누구든 할 수 있다는 믿음과 신뢰가 있을 때 보스도 잡기 쉬운 법이다. 솔직히 모르고 보스를 맞이한다면 정말 절망적이고 그 크기에 압도되어서 플레이가 망설여 지기까지 한다.

그럼에도 생존 항목에 더해서 전투를 해나갈 수 있는 장비류와 공격 무기들을 갖추면 상대하지 못할 이유가 없다. 또한 보스를 보더라도 어렵다면 도망치면 된다. 다만 그렇게 되면 활동 범위 및 정착지에 위협이 생겨서 생존이 어려울 수도 있겠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난이도가 상당해서 살아남기는 쉽지 않을 것이다. 다행이도 죽으면 원래 맵으로 돌아간다.

몰입감과 중독성 여부는 몰입감도 상당하며 중독성도 상당한 편이다. 다만 몰입성의 경우에는 반복되는 플레이와 기초 재료들을 모으고 있을 때 깨지기 싶다.

중독성의 경우에는 도전정신을 불러 일으키는 요소들과 어떻게 하면 더 생존 할 수 있을까의 고민과 함께 돈 스타브를 계속하는 매력을 지닌다. 그럼에도 한번 엔딩을 보고 난 이후로는 손이 잘 안갈 수도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게 되었다면 새로운 맵으로 위치를 옮겨도 된다. 다만 가지고 갈 수 있는 물품은 제한 된다.

한 맵에 정착해서 살고 있다가 다른 맵으로 이동하거나 새롭게 시작하게 되었을 때 소모한 이전 맵에서의 시간과 장치들이 있기에 어떤이는 새롭게 다시 만들어가는 것에 재미를 느낄 수 있겠으나 다시 반복해야 한다는 느끼게 될 경우에는 중독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어드벤쳐 맵으로 도전적인 과제가 주워지고 실패해도 기존의 맵으로 복귀하는 등의 컨텐츠가 있으나 어느 정도 게임에 적응한 이후에는 조금은 덧없이 느껴질 수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죽지만 않는다면 계속 게임을 이어 갈 수 있을 것이다.

3. ‘돈 스타브(Don’t Starve)’ 마무리


‘돈 스타브(Don’t Starve)’ 필자로서는 제작과 생존류의 게임을 좋아하는 분이라면 충분히 재미있게 즐길 수 있는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만들 것으로 생존에 더욱 유리해지면서 성장하는 기분과 어려움을 극복해 나가는 즐거움이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함정은 공격적이 작은 적들을 손쉽게 데미지 없이 포획할 수 있다.

또한 등장하는 보스들을 이나 자연 환경의 어려움을 극복할 때 나온는 성취감도 상당한다. 또한 미지의 부분을 탐험하고 새로운 것을 접해보는 재미도 있다. 물론 그에 따라오는 위험성으로 인해서 마음 아픈 상황이 펼져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새로운 물건들을 제작하기 위해선 특이한 필요한 재료가 있다. 새로운 재료를 얻기 위해 새로운 지형이나 장소에 가서 재료를 구해 와야 하는데 그 탐험이 나름 재미있을 것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점점씩 구색을 갖춰가는 정착지를 갖도록 하자.

새로운 모험을 나가기 위해서 준비하는 작업도 흥미롭다. 장기간 탐험을 위해서 음식물을 가지고 무기와 보호구도 추가로 갖춰서 모험을 나가는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이리저리 설명을 하고 언급하지 못한 부분도 있겠지만 ‘돈 스타브(Don’t Starve)’ 플레이 해보면 정말 재미있게 플레이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제작, 생존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말이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방심은 근물이다. 돼지 제단을 활성화 시켜서 혹시나 모를 죽음에 대비할 필요는 있다.
‘돈 스타브(Don’t Starve)’ – 부활! 부활!

이상이다. 당신의 앞길에 행운이 있기를 바란다.

, , ,
구독
통지
1 댓글
가장 오래된
최신 최다 투표
인라인 피드백
모든 댓글 보기

[…] 장르로서 리뷰한 게임 중 비슷한 장르를 생각해 보면 ‘[PC게임 리뷰] 돈 스타브(Don’t Starve)‘, ‘[PC게임 리뷰] 프로젝트 좀보이드(Project zomboid)‘, ‘[PC게임 리뷰] […]